본문 바로가기
시니어 스마트폰 생활 백서

디지털 문맹 탈출: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용어 사전

by roliinews 2025. 7. 2.

 

스마트폰은 이제 생활 필수품이 되었지만, 시니어 세대에게는 여전히 어렵고 복잡한 도구처럼 느껴질 수 있다.
스마트폰을 잘 사용하고 싶지만 용어부터 이해되지 않으면 사용 자체가 불편해진다.
이 글에서는 시니어들이 스마트폰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가장 자주 나오는 스마트폰 용어들을 하나하나 풀어 설명한다.
기계어처럼 들리던 단어들도 이 글을 통해 ‘사람 말’로 바꿔 설명해줄 것이며, 시니어 스스로 스마트폰을 더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디지털 문맹이란 무엇인가요?

디지털 문맹이라는 단어는 어렵고 부담스럽게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디지털 문맹이란 스마트폰, 컴퓨터, 인터넷 같은 디지털 기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문자 해독이 어려운 ‘문맹’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도 디지털 문맹에 해당한다.

시니어 세대는 젊은 세대보다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시간이 짧고, 배우는 기회도 적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디지털 문맹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 없다. 디지털 문맹은 글자를 몰라서가 아니라, 낯선 용어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시니어에게 꼭 필요한 스마트폰 용어들을 설명해주면서 그 벽을 하나씩 허물어볼 것이다.

 

시니어가 꼭 알아야 할 스마트폰 용어 50선 (실생활 우선순위 기준)

1. 홈 화면 (Home screen)

→ 스마트폰을 켰을 때 처음 나오는 화면. 마치 책의 표지처럼 가장 기본이 되는 화면.

2. 앱 (App, 어플리케이션)

→ 스마트폰에 설치된 프로그램. 예: 카카오톡, 유튜브, 사진 보기 등 전부 앱이다.

3. 아이콘 (Icon)

→ 앱을 나타내는 작은 그림. 홈 화면에 있는 네모나 동그란 그림들이 아이콘이다.

4. 와이파이 (Wi-Fi)

→ 무선 인터넷. 데이터 요금 없이 인터넷을 쓸 수 있게 해주는 신호.

5. 모바일 데이터

→ 와이파이 없이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사 연결 서비스. 사용하면 요금이 나갈 수 있다.

6. 터치 / 더블터치 / 롱터치

→ 화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을 터치라고 한다.

  • 짧게 누르면 '터치'
  • 두 번 빠르게 누르면 '더블터치'
  • 길게 누르면 '롱터치'

7. 알림창 (Notification bar)

→ 화면 맨 위를 아래로 내리면 나오는 창. 문자, 배터리 상태, 앱 알림 등이 표시된다.

8. 업데이트 (Update)

→ 앱이나 스마트폰 자체를 새 버전으로 바꾸는 것. 보안이나 기능 개선을 위해 필수적이다.

9. 다운로드 (Download)

→ 인터넷에서 파일, 앱 등을 내 스마트폰으로 가져오는 것. 앱 설치나 사진 저장도 다운로드다.

10. 설정 (Settings)

→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조절하는 곳. 글자 크기, 소리, 배경화면, 인터넷 등 모두 설정에서 바꾼다.

11. 계정 (Account)

→ 스마트폰이나 앱을 쓰기 위한 개인 ID. 예: 구글 계정, 네이버 계정 등.

12. 로그인 / 로그아웃

→ 내 계정으로 들어가는 것이 로그인, 나오는 것이 로그아웃.

13. 비밀번호 (Password)

→ 계정이나 앱을 사용할 때 본인임을 증명하기 위한 숫자나 문자 조합.

14. 인증번호

→ 보안을 위해 일회성으로 받는 숫자 코드. 문자를 통해 받는다.

15. 보안 (Security)

→ 내 정보와 스마트폰을 해킹이나 사기로부터 지키는 것. 비밀번호, 지문인식 등 포함.

16. QR코드

→ 네모난 무늬를 찍으면 자동으로 링크나 정보로 연결되는 기능.

17. 카메라 / 갤러리

→ 사진 찍는 앱이 카메라, 찍은 사진을 모아보는 곳이 갤러리다.

18. 클릭 / 누르기 / 터치하기

→ 손가락으로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행위. 모두 같은 의미다.

19. 백업 (Backup)

→ 스마트폰 안의 데이터를 다른 곳에 저장하는 것. 고장 나도 복원할 수 있게 해준다.

20. 복원 (Restore)

→ 백업해둔 데이터를 다시 스마트폰에 불러오는 것.

21. 앱 삭제 (Uninstall)

→ 필요 없는 앱을 스마트폰에서 지우는 것.

22. 앱 설치 (Install)

→ 새로운 앱을 스마트폰에 추가하는 것. 보통 ‘Play 스토어’에서 한다.

23. 플레이스토어 / 앱스토어

→ 앱을 설치하거나 검색하는 공간. 안드로이드(삼성)는 Play스토어, 아이폰은 App스토어 사용.

24. 바이러스 / 악성코드

→ 스마트폰을 느리게 하거나 정보 유출을 유발하는 나쁜 프로그램.

25. 백신 앱

→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를 막아주는 보안 앱. 예: 알약M, V3 모바일

26. 잠금화면 / 잠금해제

→ 스마트폰을 켤 때 처음 보이는 화면. 비밀번호, 지문 등으로 잠금을 풀어야 한다.

27. 배터리 / 충전

→ 스마트폰을 작동시키는 전기. 떨어지면 충전기를 꽂아야 한다.

28. 블루투스

→ 무선으로 이어폰, 스피커 등에 연결하는 기능.

29. 데이터 사용량

→ 모바일 데이터를 얼마나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양.

30. 저장공간 / 용량

→ 스마트폰 안에 사진, 앱,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31. 공유하기

→ 사진, 동영상, 정보 등을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기능.

32. 복사 / 붙여넣기

→ 글자나 사진을 한 번 복사한 뒤, 다른 곳에 그대로 옮기는 기능.

33. 파일 / 문서

→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는 '파일' 혹은 '문서'라는 형태로 저장된다.

34. 클라우드 (Cloud)

→ 데이터를 인터넷 상에 저장하는 공간. 예: 구글 드라이브, 삼성 클라우드

35. 자동완성 / 자동입력

→ 자주 쓰는 단어를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기억하고 입력해주는 기능.

36. 알람 / 타이머

→ 정해진 시간에 소리를 울리거나 시간을 재는 기능.

37. 멀티태스킹 / 최근앱

→ 여러 앱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최근에 썼던 앱들을 다시 열 수 있는 기능.

38. 다운로드 폴더

→ 인터넷에서 받은 파일이 저장되는 기본 폴더.

39. 스크린샷

→ 화면을 사진처럼 찍는 기능. 보통 전원+소리 줄이기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찍힌다.

40. 잠시 꺼두기 / 절전모드 / 비행기 모드

→ 배터리를 아끼거나, 통신을 차단하는 기능. 이동 중 자주 사용된다.

41. 보이스피싱

→ 전화로 속여서 돈을 빼앗는 범죄.

42. 스미싱

→ 문자로 유도해 개인정보를 빼가는 사기.

43. 2단계 인증

→ 로그인 시 비밀번호 외에 한 번 더 인증하는 방식. 보안을 강화한다.

44. 지문인식 / 얼굴인식

→ 지문이나 얼굴로 스마트폰 잠금을 푸는 기능. 간편하면서도 안전하다.

45. 쿠키 / 캐시

→ 인터넷 사용 기록을 저장하는 데이터. 일정 기간마다 삭제해주는 게 좋다.

46. URL / 링크

→ 인터넷 주소.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47. 사이트 차단

→ 위험하거나 불필요한 사이트를 접속하지 못하도록 막는 기능.

48. 비상연락처 등록

→ 위급할 때 바로 연락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 시니어에게 꼭 필요하다.

49. 휴대폰 찾기 기능

→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때 위치를 찾아주는 기능.

50. 보안패치 / 시스템 업데이트

→ 스마트폰을 최신 상태로 유지해 해킹을 막아주는 작업.

 

시니어 디지털 학습 꿀팁

  • 하루에 2~3개 용어만 외우기: 한꺼번에 외우기보다 반복이 중요하다.
  • 메모장에 단어 뜻 써놓기: 자주 보는 장소에 붙여두면 자연스럽게 익힌다.
  • 자녀나 손주에게 용어 뜻 물어보기: 가족과 함께 배우는 것이 가장 빠르다.
  • 유튜브에서 해당 용어 검색해보기: 시니어 친화형 영상도 많다.

스마트폰 용어는 알고 보면 어려운 게 아니다. 낯선 단어일 뿐이지, 실제 기능은 대부분 익숙한 일상과 연결되어 있다.
이 글을 통해 시니어 세대도 스마트폰 용어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고, 스스로 스마트폰을 ‘내 물건’처럼 다룰 수 있는 힘을 갖게 될 것이다.